본문 바로가기

IT/IT일반

킥스타터(KickStarter), 어떻게 세상을 바꾸었을까?

 '킥스타터(KickStarter)'가 유행이라고 합니다. 아니,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이 유행이라고 해야겠습니다. 그 크라우드소싱의 대표적인 업체가 바로 '킥스타터'입니다.


 이들은 어떻게 세상을 바꾸었을까요?






킥스타터(KickStarter), 어떻게 세상을 바꾸었을까?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의 개념은 과거에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인디밴드의 공연이나 아이디어 상품에 일반인들이 투자하여 투자금에 따라 다시 이윤을 배분받는 식의 펀딩 개념으로 제공되곤 했었는데, 단기 펀딩처럼 진행되었기에 참여도가 그리 높지 않았습니다. 방식자체가 기존 금융 투자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아 접근 자체가 그리 높진 않았었습니다.


 킥스타터는 이런 투자의 방식을 플랫폼으로 재해석한 대표적인 예입니다.




킥스타터





 킥스타터의 구조는 간단합니다. 투자를 받으려는 사람은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투자하려는 사람은 보상을 보고 투자를 진행하면 됩니다. 이게 끝이에요.


 디자인, 음식, 게임, 음악, 기술 등 총 13가지 카테고리가 있으며, 카테고리에 맞게 투자 신청을 하면 됩니다. 투자에는 조건을 붙일 수가 있는데, $5에 감사의 편지를 적어준다거나 $10에 제품 하나를 보내준다거나 같은 투자금에 따른 조건을 마음껏 붙이고 이에 따라 투자자는 투자 금액을 정하여 투자할 수 있습니다.



 




 위 영상은 킥스타터에 올라온 무엇이든 컨트롤러로 만들어주는 'MaKey MaKey'라는 기술 재품의 홍보 영상입니다. 이런 재미있는 홍보 영상과 사진, 설명 등을 통해 킥스타터 투자자들에게 자신의 제품을 어필하고, 더 많은 투자를 받아낼 수 있습니다. 'MaKey MaKey'는 이 신기한 영상을 통해 무려 '$568,106'라는 투자금을 유치할 수 있었습니다.


 킥스타터의 또 다른 특징이라고 하면 '목표액'이라는 것이 있는데, 기존의 펀딩에도 목표액은 있었지만 그것은 제품 판매나 공연 성공의 목표액이였고 일단 출금되어 투자금으로 보내진 뒤 나중에 어떤식으로 보상이 돌아오도록 되어있었습니다. 그래서 제품이나 공연이 실패했을 시에는 그 금액을 다시 돌려받지 못하는 구조였지만, 킥스타터의 목표액은 프로젝트를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목표액이며 투자자는 크레딧카드만 설정해두면 이 목표액에 도달할 수 있어야 출금이 되도록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목표액만 채우게 되면 투자금에 따른 일정한 보상이 무조건 가능한 시스템이라는 것이죠.


 그래서 일반인들의 참여를 유동적으로 이끌어내고, 영상과 사진의 홍보 컨텐츠를 첨부하도록 하여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같은 SNS에 좀 더 빠르고 상품을 쉽게 공유 할 수 있게 하면서 더 많은 투자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크라우드소싱의 플랫폼화를 실현시킨 것이 바로 '킥스타터'입니다.




이점과 쟁점




 킥스타터 최고의 성공작으로 꼽히는 것이 바로 '페블(Pebble)'입니다. E-잉크를 사용한 스마트워치인데, 다양한 앱과 연동할 수 있도록 SDK를 제공하고 햇빛에도 잘보일 수 있도록 E-잉크를 사용했으며 다양한 시계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품입니다.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편하고 다양하게 제공하도록 제작 된 이 제품은 '6만8천 오더', 무려 '$1천만'이라는 금액을 투자받았습니다. 회사의 지분을 넘기거나 까다로운 투자금 상환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더라도 아이디어와 기술력 하나만으로 대중들을 열광시킬 수 있다면 투자금을 모을 수 있는 활로가 열리게 된 것입니다.


 투자자의 경우 투자의 개념보다는 한명의 소비자로써 마음에 드는 제품이나 아이디어에 동참하여 나눌 수 있는 호기심의 장이 되었으며,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기회의 장이 되었습니다. 2008년 설립 된 후로 지금까지 6만4천개의 프로젝트가 투자금을 받았으며, 등록 된 프로젝트 중 44%가 총 $2억 4천만의 투자금을 모금 받았습니다.



 다만, 킥스타터의 부정적인 면도 쟁점이 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투자를 하게 되면 상품을 배송해준다는 조건에 대해 제품을 생산하는 라인이나 자재 부족으로 기약한 날보다 더 오래 걸리거나 제대로 배송이 되지 않기도 하고, 공연의 질이 떨어지거나 같은 투자 후의 문제점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프로젝트 발안자와 투자자 간의 신뢰성의 문제인데, 킥스타터가 이를 어떤 식으로 중재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누군가는 기회를 얻고, 누군가는 기회를 줄 수 있다는 커다란 의미때문에 킥스타터는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세상을 바꿨을까?




 실리콘밸리의 한국인 권기태씨는 '인피니윙'이라는 하드웨어 벤처 회사를 창업했습니다. 맥북 에어의 여러 케이블을 한번에 연결할 수 있는 'LandingZone'이라는 도킹스테이션을 개발했는데, 투자금을 모으는 것이 쉽지 않던차에 킥스타터를 이용해서 '$82,489'이라는 투자금을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 조건은 $139이상 투자금의 경우 제품을 보내준다는 것이였습니다. 488명이 투자에 참여했으며, 고객확보와 함께 제품 판매까지 이뤄내는 쾌거를 얻었습니다.


 보통 투자금을 얻기 위해 금융권을 들락날락거려보지만 아이디어에 대한 확신이 없다면 투자금을 따내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 투자금마저도 빚으로 돌아오기도 합니다. 하지만, 킥스타터는 일반인 여러명을 상대로 소액을 많이, 그것도 빚이 아닌 발안자가 내세운 조건에 맞춰서 진행된다는 점은 아이디어를 내고 스타트업하려는 사람들에게 부담을 덜어주고 좋은 아이디어를 세상에 내놓게 해주는 투자 방식으로써 어찌보면 복권과도 같지만 아이디어와 능력에 따라 평가 받을 수 있는 자리인 것이죠. 더군다나 페블이 크게 성공했던 이유 중 하나는 미디어 매체들의 보도가 있었기 때문인데, 웹을 통해 아이디어를 쉽게 홍보하고 빠르게 투자를 유치해서 아이디어만 좋다면 단기간에 투자를 받아 빠르게 사업을 진행 시킬 수 있다는 점도 빛을 발하지 못할뻔한 아이디어를 끄집어내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기업에서 진행하는 공모전도 나의 아이디어를 선보일 수 있는 기회가 되곤하지만, 내 아이디어를 개최 기업에 종속시켜야한다는 것 같은 뭔가모를 찝찝함이 동반되기도 하는데 아이디어가 그 자체로 평가받고, 그 평가가 고스란히 돌아오는 킥스타터의 방식은 투자의 상식을 엎었습니다.


 어릴 적 '인구 1인당 100원씩만 받아도 부자가 될 수 있지 않는가'하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습니다. 티끌모아 태산이라고도 하죠. 그러나 100원은 작은 돈이지만 모으는 것은 매우 힘든 일입니다. 하지만 그 100원이 가치있게 변할 수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곧 기부가 되고, 투자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가치를 만들어내는 것은 누구나 가능하다는 것을 킥스타터가 증명하고 있습니다. 크라우드소싱은 유행이라기보단 어떻게보면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가 예전보다 늘어나게하고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회가 생기면 도전이 늘어납니다. 킥스타터가 바꾸어 놓은 것은 그 도전이 세상을 바꿀 수 있도록 누구에게나 기회를 제공하도록 한 것입니다. 누군가에게 기회를 준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얻고, 기회를 줄 수 있는 세상으로 킥스타터가 조금은 바꾸어놓지 않았나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