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IT일반

아마존, 자체 의류 브랜드 만들 계획



 아마존은 지난해부터 프록터앤드갬블(P&G)과 제휴하여 소비재를 직접 제조하여 판매하는 아마존 엘리먼츠(Amazon Elements)라는 브랜드를 출범했습니다. 대신 자체 제조로 판매 가격을 낮추는 게 아니라 가격은 비싸지만, 아마존이 보증하는 고품질 상품으로 내세우는 데 초점을 맞추었죠.
 


아마존, 자체 의류 브랜드 만들 계획
 
 엘리먼츠는 아마존이 킨들 등 전자 기기가 아닌 상품을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는 걸 방증한 것과 함께 소매 경쟁에서 박리다매에 중점을 두고 있진 않다는 걸 잘 보여줬습니다. 많은 제품을 싸게 판매하면서 경쟁 업체들과 겨룰 수도 있겠지만, 되레 저가 경쟁은 생산 업체에 맡기고, 아마존을 특별한 곳으로 만드는 것에 자체 제조를 시작했다는 겁니다.
 
 


 엘리먼츠의 가장 큰 특징은 아마존 프라임 구독자만 이용할 수 있고, 고객은 엘리먼츠를 통해 출시한 제품에 어떤 원료가 들어가고, 어떻게 생산하는지 제품 바코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에서 볼 수 있게 제공합니다.
 
 서비스에서 차별화를 주고, 프라임 고객을 끌어모으면서 아마존의 브랜드 가치를 올리는 전략입니다. 그리고 아마존은 새롭게 자체 생산 브랜드를 준비 중이라는 단서를 내놓았습니다.
 
 패션 매체 우먼스 웨어 데일리(WWD)가 주최한 행사에서 '아마존이 자체적인 의류 생산 라인을 시작할 수 있다.'라는 얘기가 나왔다고 버즈 피드 뉴스는 전했습니다. 가능성을 언급한 건 아마존의 자회사 샵밥(Shopbop)의 CEO이자 아마존 패션의 임원인 제프 유르시신(Jeff Yurcisin)입니다.
 
 아마존은 2006년 프리미엄 쇼핑몰인 샵밥을 인수했습니다. 패션 사업을 강화하는 목적이었는데, 당시에는 성공적이지 못했습니다. 아마존은 저가 의류를 판매한다는 인상이 강했고, 고급화를 지향하는 브랜드들이 아마존에 입점하길 꺼렸기 때문입니다. 이는 샵밥을 인수한 뒤로도 개선되지 않아서 투자에 비하면 썩 성과가 좋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아야 했습니다.
 
 그런 아마존이 자체적인 의류 브랜드를 만들겠다는 건 변화한 시장과 패션 부문에서 아마존이 어떤 위치인지 얘기하는 단서입니다.
 
 

via_Sportswearnet


 지난 7월, 금융서비스 업체 '코웬(Cowen)'은 '2017년까지 아마존이 메이시스를 제치고, 최대 의류 소매점이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올해 시장 점유율은 5% 수준이지만, 2020년까지 14%나 증가할 것이고, 이런 추세라면 2017년에는 메이시스를 넘어서리라는 겁니다.
 
 또한, 월마트와 타겟에서 의류를 구매한 고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작년에는 8%가 아마존에서도 의류를 구매한다고 밝혔지만, 올해는 1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프라인 구매보다 온라인 구매가 늘어난 것과 온라인에서 아마존이 크게 성장한 게 원인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자체 생산한 의류를 저렴한 가격에 판매한다면 점유율 상승에 충분히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죠. 다만 그런 방식은 많이 판매하는 것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아마존이 판매하는 전체 의류를 고려했을 때는 그리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아마존이 새로운 의류 브랜드에 대해서 많은 얘길 한 건 아니지만, 아마존은 계속해서 패션 사업을 고급화하는 데 투자했습니다. 샵밥 인수도 그렇지만, 지난해 11월에는 4만 제곱피트 규모의 패션 스튜디오를 열었죠. 이 스튜디오는 아마존 패션 그룹의 광고와 홍보에 사용할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곳인데, 아마존의 발표로는 하루에 19,000장의 패션 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아마존은 이런 스튜디오를 연 이유가 블루밍데일즈(Bloomingdales), 노드스트롬(Nordstrom) 등의 백화점과 경쟁할 수 있는 온라인 쇼룸을 가지는 것이라고 말했는데, 아마존 패션의 캐시 보두앵(Cathy Beaudoin)은 '모든 고객을 만족하게 할 순 없겠지만, 의료 부문은 아마존의 가장 빠른 성장 부문 중 하나'라고 말했습니다. 분명 성장은 하고 있으나 경쟁 백화점의 쇼룸을 더 좋아하는 고객이 있으므로 꼭 온라인이 우수하다고 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그렇다면 아마존은 그 부분을 해결할 수 있어야 목표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필자는 아마존이 자체 생산하는 의류가 그 열쇠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생각합니다.
 
 아마존은 패션 스튜디오를 구축한 것 외에도 신인 디자이너를 발굴하는 프로그램도 지원했습니다. 파슨스 디자인스쿨(Parsons The New School for Design), SVA(School of Visual Arts), 프랫 인스티튜트(Pratt Institute) 등 명문 디자인 학교의 학생들이 참여했는데, 이런 행보 자체가 '아마존은 저가 의류만 판매하지 않는 곳은 아니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의도입니다.
 
 그리고 같은 맥락에서 자체 의류 브랜드를 얘기하면, 아마존이 다른 경쟁 온라인 업체가 갖고 있지 않은 거대한 스튜디오를 마련했으나 이 스튜디오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많은 의류 브랜드의 입점이 필요합니다. 더군다나 목표라는 블루밍데일즈, 노드스트롬과 경쟁하려면 고급 브랜드의 입정이 중요하죠. 하지만 상기한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를 아마존이 직접 의류 생산 라인을 갖추고, 박리다매가 아닌 품질과 패션 스튜디오를 활용한 판매가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다면 얘기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어차피 아마존의 의류 사업은 계속 성장하고 있습니다. 반면, 메이시스는 부진한 실적을 이어가고 있는 탓에 유통에서 의류 브랜드들도 온라인으로 눈을 옮겨야 하는 상황입니다. 그 중간에 성공적인 자체 의류 브랜드가 껴있다면 의류 브랜드들의 입점을 부추기는 동시에 패션 스튜디오의 작동과 목표에도 도달할 수 있겠죠.
 
 

via_In My Little Mind


 아마존의 패션 사업을 고급화하려는 움직임은 하루 이틀 된 것은 아닙니다. 앞서 얘기한 샵밥 인수나 패션 스튜디오나 신인 디자이너 발굴도 아마존의 포지셔닝을 바꾸려는 시도였습니다. 이런 시도들에 자체 생산한 의류를 반영할 수 있다면 상당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여태 시도했던 것들의 문제점들을 단번에 해결할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아마존의 의도와 다르게 브랜드의 고급화에 실패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단지 성공했을 때 얻을 수 있는 보상이 크므로 해볼 가치는 충분히 있다고 봅니다.
 
 오랜 시간 패션 사업이 크길 희망한 만큼 자체 의류 생산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